조사내용 |
① 서울청년패널조사 프레임
구분 |
내용 |
활용방안 |
---|
이행기 특성 |
‘교육-노동-독립-가족형성’에 이르는 이행경로와 위험사건 |
연속적, 누적적 이행상태의 측정 |
다차원적 삶의 영역 |
일자리, 교육 및 훈련, 주거, 소득과 자산, 주관적 삶의 질과 박탈, 건강, 사회관계와 사회참여, 생활양식(life-style) |
상호 연결되고 중첩된 삶의 실태 분석 |
다층적 삶의 격차 |
성별, 연령, 계층, 이행상태에 따른 평균 차이, 불평등 수준, 상·하위 격차, 박탈 |
교차성을 반영한 격차 측정 |
정책 경험과 평가 |
청년정책 수요 및 효과 |
청년 중심, 증거기반 정책 수립 |
· 이행기 청년의 다차원적 삶의 변화 고려
· 청년을 둘러싼 환경과 미시적 삶의 자원, 네트워크, 관계, 활동에 관한 종합실태 파악 |
② 2021년 서울청년패널 조사 영역 및 주요 내용
영역 |
세부 영역 |
주요 내용 |
---|
Ⅰ. 교육·훈련 |
A. 학교교육 |
∙ 정규교육 경험 : 고등학교 경험, 대학 경험, 대학원 경험, 교육기회
∙ 진학계획 : 대학 미진학 사유 및 진학 계획 |
B. 직업 훈련 교육 |
∙ 취·창업 준비 : 준비경험, 교육·훈련 경험, 교육·훈련 비용 및 부담정도
∙ 진로와 직업계획 : 직업인식 및 계획 |
Ⅱ. 일자리 공통 |
C. 일자리 경험 |
∙ 경험일자리 : 과거 일자리 경험 |
Ⅲ. 취업자 |
D-1. 주된 일자리 |
∙ 일자리 정보 : 주된 일자리 정보, 전체 일자리 정보, 이직 의향, 일자리 인식 |
D-2. 구직/이직/창업 |
∙ 취업자 구직활동 : 구직활동 경험, 창업 의향, 필요지원 |
Ⅳ. 미취업자 |
E-1. 취업준비 |
∙ 취업준비 : 지난 4주간 취업준비 경험, 향후 |
E-2. 구직/창업 활동 |
∙ 구직 및 창업 활동 : 지난해 구직활동 및 창업 준비 경험, 구직활동 시 필요한 지원, 취·창업 준비 의향 |
Ⅴ. 창업준비 |
F. 창업준비 |
∙ 창업준비 : 창업준비경험 |
Ⅵ. 경제 |
G. 경제 |
∙ 소득, 소비, 자산, 부채 : 응답자 본인 소득, 소비, 자산, 부채, 가구 월평균 소득/생활비, 가구 총 자산/부채 |
Ⅶ. 주거 |
H. 이사경험 및 계획 |
∙ 이사경험 및 계획 : 18세 이후 이사경험, 2022년 이사 계획 |
I. 현재 거주지 |
∙ 주거상태 : 주거특성, 주거비용, 주거환경
∙ 주거인식 : 주거인식 및 불안, 만족도 |
Ⅷ. 삶의 여건과 인식 |
J, 삶의 여건과 인식 |
∙ 결핍 : 박탈 경험, 주관적 만족도
∙ 사회관계 : 사회적 고립
∙ 건강 : 주관적 건강 및 정신건강
∙ 사회인식 : 현재/미래 전망, 신뢰와 공정성,
∙ 시간사용 : 시간사용, 일생활 균형 |
Ⅸ. 정책 경험 및 평가 |
K. 정책 경험과 평가 |
∙ 정책 경험 및 평가 : 중앙정부 및 서울시 정책 인지 여부, 이용 여부, 이용의향 |
Ⅹ. 가구배경 |
L. 가구배경 |
∙ 본인 및 가구 정보: 가구원 정보, 혼인상태 및 계획, 자녀여부 및 계획, 경제적 독립, 생계기여 |
M. 기본정보 |
∙ 성장배경 및 기본정보 : 성장배경, 군입대 경험 |
Ⅺ. 부가조사 |
N.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와 전망 |
∙ 코로나19 경험 및 전망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경험 |
③ 서울청년패널조사 주요 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