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디지털도시연구실 빅데이터분석팀
2024.05


들어가며


새로운 시각, 격자로 서울을 읽다

통계청 격자통계 데이터 공개로 우리는 서울의 인구 밀도 변화를 이전보다 훨씬 더 섬세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행정동 단위, 시군구 단위, 집계구와 같은 기존 통계 공간 단위는 모양과 크기가 불규칙하고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격자는 일정한 모양과 크기를 갖고 있어 통계 분석에 유리하며, 다양한 축척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 서울을 500m x 500m 크기의 작은 칸으로 나누어 놓은 것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22년 간 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했을까?

본 콘텐츠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22년간 서울의 인구 변화를 격자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합니다. 500m 격자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터랙티브 지도를 통해 서울시와 수도권 일대의 인구 밀도 변화를 쉽게 파악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인구 변화 패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 22년간 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했을까? 
  • 어떤 지역의 인구 증가/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을까?


통계청은 인구·가구·주택·사업체 등에 대한 격자통계를 최소 100m에서 최대 100km까지 5단계로 나눠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제공

  • 통계청 격자통계 데이터는 약 20개년도에 걸친 대규모 통계 데이터로 지역별 인구 및 사업체 등의 분포와 변화를 비교·분석하는데 매우 유용

  • 격자통계는 통계청 소속기관인 통계개발원에서 개발한 비밀보호기법(BSCA: Bounded Small Cell Adjustment)을 적용함으로써 소지역에 관한 통계데이터를 개체식별 우려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분석이 가능

  • 통계자료출처

    • 인구주택총조사: 2000, 2005, 201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년, 2021년, 2022년
      ※ 외국인 및 특별 조사구(해외주재공관, 교도소 및 소년원, 군부대, 전투경찰대, 의무소방대 등) 제외

    • 전국사업체조사: 2000~2021년도
      ※ 사업체 항목은 기준년도에 따라 적용되는 표준산업분류가 다르며, 개인운수사업체 등 제외 (사업장이 일정하지 않음)

  • 통계적 비밀보호 기법적용
    - 통계자료가 5미만일 경우, 통계비밀보호를 위하여 통계값 제외(N/A) 처리하였으며, 총괄항목에 대하여는 통계값 제외 처리를 적용하지 않음

    <총괄항목>
    - 인 구 : 총 인구, 평균나이, 인구밀도, 노령화지수, 노년부양비, 유년부양비
    - 가 구 : 총 가구, 평균가구원수
    - 주 택 : 총 주택(거처)수
    - 사업체 : 총 사업체수
    - 격자 통계자료가 5(‘작은 값’ 기준: 인구 부문 5, 사업체 부문 3)미만일 경우 0이나 5(사업체 부문 3)로 확률 대체하였으며, 그 이상의 값은 ‘작은 값’을 추정하기 어렵도록 조정하여 최대 ±7(사업체 부문 ±4)의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음*
    * 통계개발원에서 개발한 비밀보호 기법인 BSCA 적용

인구 가중 밀도(Population Weighted Density)

  • `인구 가중 밀도` 개념은 기존의 단순한 인구밀도보다 도시의 집중도를 좀 더 잘 설명해 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인구 가중 밀도`는 아래 공식과 같이 지역의 인구밀도에 지역의 인구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같은 인구밀도를 가지게 되더라도 인구가중치가 높은 지역은 `인구 가중 밀도`가 높게 나와 인구 분포와 집중도를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D=(Pidi)(Pi)

D =  인구 가중 밀도

Pi =  i 구역의 인구

d= i 구역의 인구밀도

‘인구 가중 밀도’ 개념을 이용하여 대도시의 인구집중도 분석 (미국)

Population Weighted Density, WorldPop

Metropolitan and Micropolitan Population Change: 2000 to 2010

​​​​​​​

  • 생활권계획의 개념
    • 생활권이란 통근·통학·쇼핑·여가·친교·업무·공공서비스 등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범위를 말하며, 생활권계획은 생활권을 범위로 주민 요구와 지 역특성에 맞는 생활개선과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시민 눈높이 계획
  • 정의 : 도시기본계획 후속계획으로 생활권의 특성과 주민의견을 반영하여 생활권 발전방향 및 도시관리구상 제시
  • 구분 : 계획내용 및 계획 범위에 따라 권역 및 지역생활권계획 으로 구분함


출처, 서울도시계획포털 링크 연결

Analysis Tool 

Posit의 Cloud RStudio는 웹 브라우저에서 RStudio IDE를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분석 서비스 입니다.

설치 및 구성 없이 바로 사용 가능: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설정 없이 인터넷 연결만 있으면 바로 RStudio I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주요 요약


서울 인구 2000년 대비 70만 명 줄어 역대 최저치…지속적 감소 추세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899만명으로 추산됨¹ . 이는 2000년보다 약 70만 명 (7.2%p↓) 적은 수치이며, 역대 인구 조사 중 최소 규모임.
반면, 가구수는 약 101만 (32.8%p↑) 증가하여, 인구 감소와 상반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

¹ 분석에 활용한 격자 통계자료는 5미만일 경우 0이나 5(사업체 부문 3)로 확률 대체되어 있음. ‘작은 값’을 추정하기 어렵도록 조정하여 최대 ±7(사업체 부문 ±4)의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어, 기타 행정구역 단위 통계와 차이가 있음 

인구 감소(2000년 대비)

-699,396명

인구가중밀도(2000년 대비)

-19,940명/㎢

평균 인구증감률

-1%

2. 서울의 인구변화


확장된 생활권과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 주변 수도권 일대의 인구 변화를 500m 격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서울 전체의 인구 감소세는 뚜렷하나, 서울과 경계를 맞댄 인근 시군의 인구는 오히려 증가하여 서울 중심의 생활권이 확대되었음을 확인.

  • 서울 내부에서는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일부 시 경계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 감소가 나타남. 특히 동북권은 서울 내에서 가장 심각한 인구 감소 현상을 보여, 약 15.8% (약 44만 명)의 인구가 감소.


서울의 인구변화(2000년 - 2022년)


※ 노란색은 인구 증가, 파란색은 인구 감소를 나타냄   



3. 서울 도심지별 인구 변화
​​

서울, 지난 22년간 7.2% 인구 감소... 5대 권역별 현황은?

  • 통계청 격자통계로 분석한 2022년 서울의 인구는 2000년의 대비 69만 명(7.2%p↓) 감소한 899만 명으로 추산.
  • 서울 5대 권역별 인구 증감률을 살펴보면, 동북권(-1.5%)이 가장 크게 감소했고, 그 다음으로 도심권(-1.35%), 서북권(-0.4%), 서남권(-0.4%), 동남권(-0.2%) 순. 서울 전체 지역에서 인구 감소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권과 동북권에서 인구감소가 심각.
  • 서울의 모든 권역이 전국(0.13%) 대비 견고한 감소 추세가 상당기간 지속되고 있음.


서울 인구 밀도, 22년간 꾸준히 감소세...

  • 2000년 이후 서울의 인구 밀도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2022년 기준 서울 5대 권역별 인구 가중 밀도는 서남권(29,565명/㎢), 동북권(28,735명/㎢), 서북권(27,220명/㎢), 동남권(26,418명/㎢), 도심권(20,088명/㎢)이었으며, 감소 폭은 서남권(4,496명/㎢), 동북권(5,951명/㎢), 서북권(2,993명/㎢), 동남권(3,140명/㎢), 도심권(3,361명/㎢) 순으로 나타남.
  • 인구 밀도 변화는 집값 상승, 재건축 및 재개발과 같은 도시 개발로 인한 인구 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됨. 특히, 집값 상승, 재건축 및 재개발로 인해 도심권에서 인구가 빠져나가는 현상이 심화.
  • 반면, 서남권과 동북권은 도심권에 비해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인구 유입이 다소 이루졌으나, 이들 지역 역시 주택 가격 변동에 따라  인구 이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서울 도심권 인구 밀도의 변화

  • 고밀도 급간 (75,000+ 포함): 지속적인 감소 추세.
  • 중저밀도 급간: 다양한 변화 양상, 일부 급간에서는 증가, 감소, 유지 등 다양한 변화.
  • 최근에는 중저밀도 급간에서도 감소세가 나타나는 모습.


  • 도심권:
    •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인구밀도가 감소
    • 특히 고밀도 급간 ([45,000-52,500), [52,500-60,000), [60,000-75,000), 75,000+]) 감소세가 뚜렷
  • 동남권:
    • 2000년부터 2010년까지는 인구밀도가 증가하다가 2010년 이후 감소
    • 2020년 이후에는 감소세가 다소 완화
  • 동북권:
    • 2000년부터 2010년까지는 인구밀도가 증가하다가 2010년 이후 감소
    • 고밀도 급간 ([60,000-75,000), 75,000+])은 2010년 이후 지속 감소
  • 서남권:
    • 2015년 이후 인구밀도 감소세가 다소 완화
    • 고밀도 급간 ([45,000-52,500), [52,500-60,000], [60,000-75,000), 75,000+])은 2010년 이후 지속 감소
  • 서북권:
    •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밀도가 감소
    • 고밀도 급간 ([45,000-52,500), [52,500-60,000])은 2000년 이후 지속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