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대도시권 주거이동
60대 이상 고령가구의 전출입 특성
-
5. 60대 이상 고령가구의 전출입 특성
5.1 서울 전출가구
연평균 약 2.3만 가구, 시계 인접지역의 높은 출발 비중
2001년부터 2010년간 서울에서 인천·경기 지역으로 전출한 60대 이상 가구는 약 22.9만 가구로, 전체 전출가구수의 11%를 차지한다. 60대 이상 가구는 서울 송파구(7%), 강남구(6%), 은평구(6%), 노원구(5%), 강서구(5%) 등에서의 출발 비중이 높고, 이밖에도 한강 이남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고루 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착지역은 경기 고양시(11%), 용인시(9%), 성남시(7%), 남양주시(7%), 의정부시(5%) 등에서 높은 비중을 보인다. 특히 30대 전출가구에 비해 서울 서남권 출발 및 경기 서남부 도착이 약한 반면, 서울 동북권 출발 및 경기 동북부와 외곽지역으로의 도착은 다소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동북-도심-동남권을 잇는 출발과 경기 동·북부 원거리 지역에서 도착이 특화
60대 이상 가구는 서울 도심 및 동북권과 동남권 일부 지역을 주축으로 한 전출이 특화되어 나타난다. 또한 용인시 등 경기 동남부, 가평군, 양평군 등 경기 동북부로 도착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기 외곽지역에 도착하는 경향이 매우 특징적이다. 30대 가구는 시계 인접 지역 간 근거리 이동이 뚜렷한 반면, 60대 가구는 원거리 전출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고양·용인시로 전출 경향이 강하고 파주시 등 원거리 지역으로 전출 네트워크가 활발
60대 이상 가구의 서울 전출은 ‘은평구→고양시’, ‘강남구→용인시’,‘강남구→성남시’, ‘송파구→용인시’, ‘서대문구→고양시’ 등의 전출 네트워크가 높은 비중을 보여, 고양시 및 용인시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30대 가구에 비해 한강을 넘는 네트워크의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서울 한강이남 → 고양시’와 ‘서울 한강이북 → 용인시’로의 이동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60대 이상 가구는 서울 서북·동북·동남권에서 출발하여 경기 서북·동북·동남권에 도착하는 이동 경향이 주를 이루어, 서남권에서의 전출입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5.2 서울 전입가구
60대 이상 서울 전입가구 : 연평균 1.4만 가구, 전입가구의 9% 비율 차지
2001~2010년간 인천·경기 지역에서 서울로 전입한 60대 이상 가구는 약 14.4만 가구로, 전체 서울 전입가구의 9%에 해당한다. 60대 이상 가구는 경기 고양시(12%), 성남시(8%), 용인시(7%), 남양주시(6%), 부천시(6%) 등에서 출발하는 비중이 높고, 파주시, 김포시, 양주시 등 서울에 인접하지 않은 시군구 역시 고른 비중을 보인다. 또한 송파구(7%), 은평구(6%), 강남구(5%), 강서구(5%), 구로구(5%) 등으로 도착하는 비중이 높으나, 도심 및 강북지역 등을 포함한 서울 전 지역에서 고른 분포를 보인다.
60대 이상 가구는 30대 청년가구에 비해 경기 북부 및 동부 외곽지역에서의 출발 비중이 높은 반면, 서남부 지역의 이동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경기 동·북부의 원거리 지역에서 출발과 서울 한강 이북 자치구로의 도착이 특화
60대 이상 가구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봉구, 강북구 등 서울 동북권 및 도심권으로의 도착이 특화된 반면, 서남권으로의 전입은 미미하다. 경기 파주시, 양주시, 가평군, 양평군 등을 포함 하는 경기 북부의 원거리 지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이동은 특화되어 있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고양·용인·남양주에서 전입 네트워크가 우세, 30대 가구에 비해 서남권의 이동은 약세
60대 이상 가구의 서울 전입은 ‘고양시→은평구’, ‘성남시→송파구’, ‘성남시→강남구’, ‘광명시→구로구’, ‘고양시→서대문구’ 순으로 높았으며, 고양시, 용인시, 남양주시에서 출발하여 각 자치구로 도착하는 네트워크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30대 가구에 비해 서남권에서의 이동은 약한 반면, 동남권으로의 전입 경향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인다.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각 연도.
5.3 전출입 가구 특성과 이동사유
5.3.1 전출입 가구 특성-직업
전출 고령가구는 단순노무직, 서비스·판매직이 우세
2010년 서울에서 전출한 60대 이상 고령가구주는 단순노무직(47%)과 서비스·판매직(18%)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00년 이후 전문가 비중이 44%에서 18%로 급격히 감소한 반면, 사무직 및 서비스·판매직의 비중은 5%p 내외 증가하였다. 단순노무직도 30%에서 47%로 크게 증가하였다.
전입 고령가구는 단순노무직과 전문가가 높은 비중 차지
2010년 서울 전입 고령가구주는 단순노무직(43%)과 전문가(25%)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00년 이후 전문가와 단순노무직 비중은 감소한 반면, 사무직과 서비스·판매직 비중은 증가하였다. 서울 전출가구에 비해 전입가구는 전문가 비중이 높은 반면, 단순노무직 비중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5.3.2 전출입 가구 특성-주택유형
전출 고령가구는 아파트 거주가 과반 차지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출가구는 아파트(58%)와 단독주택(27%)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00년 대비 2010년 전출가구는 단독주택 비중이 22%에서 27%로 증가하였고, 아파트 비중은 소폭 감소하였다.
전입 고령가구는 아파트와 단독·다가구주택 비중이 우세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입가구도 아파트(45%)와 단독·다가구주택(30%)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 전출가구에 비해 전입가구는 단독·연립·다세대주택 거주 비중이 높고, 아파트 거주 비중은 낮다. 전입가구는 단독·다가구주택을 제외한 모든 주택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5.3.3 전출입 가구 특성-점유형태
전출 고령가구는 자가 우세, 전·월세 증가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출가구는 자가 비중(50%)이 가장 높고, 그다음이 전세(28%), 월세(19%)순으로 나타났다. 2000년에 비해 자가 비중은 65%에서 50%로 감소한 반면, 전·월세 비중이 증가하였다. 특히 월세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전입 고령가구는 자가 및 전세 거주가 우세하며, 자가 비중은 증가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입가구는 자가(46%), 전세(36%), 월세(15%) 순으로 자가와 전세 거주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출가구와는 반대로 2000년에 비해 자가 비중은 증가 하였으며, 전·월세 비중은 감소하였다.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5.3.4 전출입 가구 특성-통근시간
전출입 고령가구는 40분 미만 통근 비율이 58%로 단시간 통근 경향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출가구는 40분 미만 통근 비율이 58%, 서울 전입가구는 40분 미만 통근 비율이 58%로 나타나, 전출가구와 전입가구의 통근시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고령가구는 전술한 30대 가구에 비해 40분 미만 단시간에 통근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5.3.5 전출입 가구 특성-통근수단
전출 고령가구는 승용차, 전입 고령가구는 버스 이용이 우세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출가구는 승용차(36%), 버스(30%), 도보(20%) 비율이 높고, 전입가구는 버스(32%), 승용차(25%), 도보(20%) 비율이 높았다. 전출가구는 승용차 의존도가 높은 반면, 전입 가구는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5.3.6 전출입 가구 이동사유
전출 고령가구는 내 집 마련을 위해 현 주택으로 이동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출가구는 내 집 마련(33%), 보다 넓고 좋은 주택(16%)으로 이동하기 위해 서울을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전입가구보다 전출가구에서 두드러진다. 이동사유는 거주기간과 무관하게 직전 주택에서 현 주택으로 이동한 요인으로, 신도시 개발 등에 따른 주택 공급, 주택 마련의 수요가 활발했던 시기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임대료 부담(4%) 및 소득 감소(13%)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저렴한 주택을 찾아 이동하는 경우도 16%를 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입 고령가구는 내 집 마련과 직장 변동으로 서울로 이동
2010년 60대 이상 서울 전입가구는 내 집 마련(22%), 직장 변동(13%) 요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녀 교육 및 양호한 교통접근성을 찾아 이동하는 비중도 각각 6% 내외로 전출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소득이 감소할 경우 서울로 전입하는 비중은 전출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처 : 국토해양부, 주거실태조사, 200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