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

인구통계

1. 인구통계의 의의와 활용

1.1 인구통계의 의의

사회변동을 읽는 주요 키워드로서의 인구통계

사회변동은 사회의 여러 부문의 변화의 집합적 결과물이다. 현재 한국사회를 포함한 전 사회를 지배하는 저출산과 고령화는 인구통계학적 변화를 의미한다. 인구통계는 인구의 단기적, 중장기적 변화와 동태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주요 지표이다. 인구변동을 알려주는 인구통계는 사회변동을 사회 전체수준, 개인수준, 가족·가구수준에서 알려주는 주요 키워드이다.

 

한국사회 변화의 선도요소(leading factor)로서 서울인구통계

서울은 한국의 최중심지로서 한국사회의 변동을 선도한다. 다른 한편, 서울의 변동은 다른 지역의 변동과 상이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서울의 인구는 다른 지역의 인구보다 젊어서, 농촌에 비해 고령화의 속도가 늦다. 이처럼 서울은 한국 사회의 변동을 이끌면서 동시에 다른 지역의 변동과 다른 차별성을 갖기도 한다. 우리는 한국의 사회변동을 서울의 변동 속에서 이해하고, 서울의 사회변동은 한국의 사회변동과 연관해서 이해해야 한다. 당연히 서울의 인구변동도 한국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1.2 인구통계의 활용

사회변화의 정책적 대응 기준으로 인구통계의 활용

급격한 인구변동은 그 자체가 엄청난 사회변동이다. 급격한 사회변동은 개인, 제도, 사회가 적응하기 어렵게 만든다. 여러 형태의 부적응 사회적 문제로 나타난다. 저출산과 고령화 자체는 한국 사회의 지대한 사회변동이고,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저출산과 고령화는 여러 형태의 기술발전, 그리고 가치관의 변동과 맞물려 새로운 변동을 낳고, 과거 사회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사회문제를 양산한다. 인구통계가 의미하는 지표들을 정확하게 분석, 이해해야 급격한 사회변동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미래사회 새로운 변화를 읽을 수 있는 다차원적 이정표로써 인구통계의 활용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동과 20세기 후반 세계 경제 질서의 혼란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동, 개인주의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가치관 변동, 그리고 여전히 가족부담 중심의 불안정한 복지정책의 영향은 급격한 사회변동과 인구변동에 반영되어 있고, 이는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와 미래사회의 변화는 사회구성의 기본단위인 인구와 가구변화를 통해 나타난다. 인구통계는 이러한 변화를 읽는 다차원적 이정표로 활용해야 한다.

 

서울, 수도권, 한국사회 전체에 대한 다층적 비교분석 필요

서울의 인구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울의 인구와 가구에 대해 서울 및 서울외의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할 때 그 변화현상을 정확하게파악할 수 있다. 서울의 인구와 가구의 특성을 서울 자체만으로 파악할 경우 부분적 파악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구이동 현상은 서울, 수도권, 전국 단위의 상호비교 분석을 통해서만 그 변화 현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과거 서울 인구의 지속적 팽창은 전국에서 서울로의 인구이동 급증 현상과 맞물려 있고, 오늘날 서울 인구의 지속적 감소 역시 수도권 위성도시 건설, 지역적 고령화 현상과 긴밀한 관련 속에 전개된다는 의미이다. 서울, 수도권, 전국 사이의 다층위 분석을 통해 현재적 변화의 종합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2. 인구통계의 선정용

2.1 인구통계 분석항목 선정

인구성장, 인구구조, 가구구조의 3부문으로 인구변동과 가구변동 파악

사회의 기본적인 변화는 인구와 가구의 변동으로 나타난다. 서울의 인구변동을 인구와 가구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통계적인 관점에서 인구변동을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인 접근법이다. 인구변동은 인구성장과 인구구조로 파악하고 가구변동은 가구구조의 상세분석으로 드러난다. 인구성장률과 인구규모 예측,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및 학령인구, 부양인구, 혼인인구 및 외국인인구 등이 인구변동의 상세영역으로 포함된다. 가구구조에는 1인가구, 노인가구, 이혼가구와 다문화가구 등이 세부영역을 구성한다.

 

인구 및 가구조사 자료의 세분화된 분석에 근거한 다양한 통계지표 구축

인구주택 및 가구총조사 원자료와 서울서베이 가구조사 자료, 다양한 행정자료를 다층위적으로 세분화시켜 분석하고 시계열적인 분석을 종합하여 다양한 통계지표를 구축하였다.

 

인구통계 분석항목 및 통계자료를 나타낸 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