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경제

지표로 본 서울경제

1. 지표로 본 서울경제

 

1.1 지역내총생산

서울의 GRDP는 2011년 247.0조 원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2.0% 증가

서울의 GRDP(2005년 기준 가격)는 2000년 182.2조 원에서 2011년 247.0조 원으로 연평균 2.8% 증가하였다. 이는 전국 GDP 연평균 증감률 4.4%에 1.6%p, 수도권 GRDP 연평균 증감률 4.6%에 1.8%p 밑도는 수치 이며, 이에 따라 GDP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0년 26.3% 에서 2011년 22.3%로 축소되었다. 특히, 세계경제의 침체와 맞물린 내수위축 등으로 인해 서울의 최근 3년간 연평균 GRDP 증감률은 2.0%에 머무르며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별 GRDP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2000년, 2011년

 

지역별 GRDP 연평균 증가율을 보여주는 표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1.2 총자본형성

서울의 총자본형성은 2011년 44.0조 원으로 총지출의 17.8%를 차지

서울의 총자본형성은 2000년 40.8조 원에서 2011년 44.0조 원으로 연평균 0.7% 증가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의 총지출 증가율(2.8%)에 비해 2.1%p 낮은 수치이며, 2009년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해 총자본형성 규모가 대폭 감소하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서울의 투자여력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

 

서울의 총자본형성 연평균 증가율은 0.7%로 전국 대비 2.3%p 낮은 수준

서울의 연평균(2000~2010년) 총자본형성 증가율은 0.7%로 전국 (3.1%)과 수도권(2.3%)에 비해 각각 2.3%p, 1.6%p 낮은 수치이다. 즉, 타 지역에 비해 서울의 성장잠재력이 더욱 빠르게 저하되고 있다.

 

서울의 총자본형성 비중은 17.8%로 전국 대비 낮은 수준

서울의 총지출 중 총자본형성 비중은 2011년 17.8%로 전국 26.5% 대비 8.7%p, 수도권 23.7% 대비 5.9%p 낮은 수준이다. 서울의 분석기간(2000~2011년) 내 평균 총자본형성 비중 역시 21.0%로 전국 28.7% 대비 7.7%p, 수도권 27.9% 대비 6.9%p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 지역에서 총자본형성 비중이 감소세

한편, 2000년 이래로 전 지역에서 총자본형성 비중이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총자본형성 비중은 2000년 22.4%에서 2011년 17.8%로 4.6%p 감소하였으며, 같은 기간 전국과 수도권에서도 각각 3.7%p와 6.7%p 감소하였다.

 

서울시 총자본형성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지역별 총자본형성 비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2000년, 2011년

 

지역별 총자본형성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 표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1.3 최종소비지출

서울의 최종소비지출은 2011년 173.2조 원으로 총지출의 70.1%를 차지

서울의 총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최종소비지출은 2000년 116.6 조 원에서 2011년 173.2조 원으로 연평균 3.7% 증가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의 GRDP 증가율(2.8%)에 비해 1.9%p 높은 수치로, 생산에 비해 소비의 증가폭이 크다.

 

서울의 최종소비지출 연평균 증가율은 3.7%로 전국 대비 0.2%p 높은 수준

서울의 연평균(2000~2010년) 최종소비지출 증가율은 3.7%로 전국 (3.5%)에 비해 0.2%p 높고, 수도권(4.3%)에 비해서는 0.6%p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보았듯 타 지역의 GRDP 증가율이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울에서의 체감 소비 증가는 타 지역을 앞서는 수준이다.

 

서울의 최종소비지출 비중은 70.1%로 전국 대비 높은 수준

서울의 총지출 중 최종소비지출 비중은 2011년 70.1%로 전국 64.6% 대비 5.5%p, 수도권 68.6% 대비 1.5%p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분석기간(2000~2011년) 내 평균 최종소비지출 비중 역시 69.8%로 전국 68.0% 대비 1.8%p 높은 수준이다.

 

타 지역의 소비지출 비중은 감소한 반면, 서울에서는 꾸준히 증가세

특히, 2000년 이래로 타 지역의 최종소비지출 비중이 감소한데 반해, 서울에서는 그 비중이 증가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서울의 최종소비지출 비중은 2000년 64.0%에서 2011년 70.1%로 6.1%p 확대되었으며, 전국과 수도권은 반대로 각각 5.8%p, 2.0%p 감소하였다.

 

서울시 최종소비지출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지역별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2000년, 2011년

 

지역별 최종소비지출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 표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1.4 재화 및 서비스의 순이출

서울의 순이출은 2011년 25.0조 원으로 총지출의 10.1%를 차지

서울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순이출은 2011년 25.0조 원으로 지역 밖으로 빠져나가는 재화와 서비스의 규모가 지역 내로 들어오는 재화와 서비스의 규모보다 크다. 즉, 서울의 총지출 중에서 1/10은 역외로 이출되며, 서울의 소비는 지역내 수요뿐만 아니라 지역외 수요에 상당 부분을 의지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양의 순이출 값이 나타나며 역외 이출이 지속

서울의 순이출은 2000년 이래로 모든 연도에서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2000년 경기회복에 따라 이후 미미한 감소세를 보였던 순이출 값은 2009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현재 서울의 총지출에서 10% 내외의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의 순이출 비중은 10.1%로 전국 대비 높은 수준

서울의 총지출 중 순이출 비중은 2011년 10.1%로 전국 8.1% 대비 2.0%p, 수도권 6.2% 대비 3.9%p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분석기간(2000~2011년) 내 평균 순이출 비중 역시 8.2%로 전국 3.2% 대비 5.0%p, 수도권 -0.9% 대비 9.1%p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에서 역외 이출이 지속되는 한편, 타 지역에서도 역외 이출이 증가세

서울의 순이출이 지속적으로 양의 값을 나타낸 것과 달리, 전국과 수도권의 순이출은 2000년 당시 각각 -1.7%, -2.4%로 음의 값을 보였다. 하지만 전국적인 내수위축으로 인한 역내 지출감소로 역외 이출이 점차 증가하였고, 높은 순이입 비중을 보이던 수도권에서도 2008년 처음으로 이출이 이입을 웃돌게 되었다.

 

서울시 순이출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지역별 순이출 비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2000년, 2011년

 

지역별 순이출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 표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1.5 산업별 부가가치

서울의 부가가치는 2011년 220.9조 원으로 3차 산업이 91.3%를 차지

서울의 부가가치(2005년 기준 가격)는 2011년 220.9조 원으로, 그 중 0.2%가 1차 산업에서, 8.6%가 2차 산업에서, 91.3%가 3차 산업에서 각각 창출되었다. 서울의 3차 산업 부가가치는 2000년 143.4조 원에서 2011년 201.6조 원으로 연평균 3.1% 증가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의 총 GRDP 증가율 2.8%에 비해 0.3%p 높은 수치로, 타 산업보다 3차 산업의 성장세가 더 빠르다.

 

서울의 3차 산업 부가가치 연평균 증가율은 3.1%로 전국 대비 0.8%p 낮은 수준

서울의 연평균(2000~2010년) 3차 산업 부가가치 증가율 3.1%는 전국 (3.9%)과 수도권(4.1%)에 비해 각각 0.8%p, 1.0%p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보았듯 타 지역의 GRDP 증가율이 서울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점을 되새겨보았을 때, 서울에서의 3차 산업 성장세는 타 지역에 앞서는 수준이다.

 

서울의 3차 산업 비중은 91.3%로 전국 대비 매우 높은 수준

서울의 부가가치 중 3차 산업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데, 2011년 91.3%로 전국 57.0% 대비 34.3%p, 수도권 68.1% 대비 23.2%p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분석기간(2000~2011년) 내 평균 3차 산업 비중 역시 88.1%로 전국 59.1% 대비 29.0%p, 수도권 70.8 대비 17.3%p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서울의 산업구조가 지나치게 서비스업화되고 있다.

 

타 지역의 3차 산업 비중은 감소한 반면, 서울에서는 서비스화가 심화

2000년 이래로 타 지역의 3차 산업 비중이 감소한데 반해, 서울에서는 그 비중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3차 산업 비중은 2000년 86.0%에서 2011년 91.3%로 5.3%p 확대되었으며, 전국과 수도권에서는 반대로 각각 3.0%p, 3.1%p 감소하였다. 이는 서울의 1, 2차 산업 비중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는 사실을 내포하며, 제조업 육성을 통한 지속성장의 발판 마련이 시급하다.

 

서울시 3차 산업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지역별 3차 산업 비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 2000년, 2011년

 

지역별 3차 산업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 표 입니다.

출처 : 통계청, 지역소득조사, K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