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반시설

하수도

4.9 하수도

4.9.1 하수도 보급률

상수도 보급에 비해 하수도 보급은 매우 늦은 편이었다. 1970년에도 하수도 보급률은 27.9%로 같은 해 상수도 보급률이 85.6%의 약 1/3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생활하수나 빗물 등의 대부분이 하수관거가 아니라 지상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것으로 당시 서울의 위생수준이 열악했음을 보여준다. 한국전쟁 이후 근대화가 시작된 1960년대에 상수도 보급은 급속하게 늘어나 1970년에 이미 85.6%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하수처리 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일반적이지 않았다. 전쟁 후 서울로 몰려든 빈민들이 청계천변 판자촌에 살면서 청계천이 거의 하수처리장 역할을 했고, 여타 서울시내 작은 하천들도 청계천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수도 보급률이 50%를 넘긴 것은 1977년에 들어서였으며, 80년대부터 급속하게 확충되기 시작하였다. 1982~1983년 1년 사이 하수도 보급률은 68.8%에서 85.9%로 약 17% 증가하였다. 1980년대 중반 들어 서울시의 하수도 보급률은 90%를 넘어섰고, 1997년에는 100%를 달성하였다.

 

하수도 개괄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하수도 개괄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출처 : 1970년~1982년의 자료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1983년~2000년의 자료 : 서울시, 도표로 본 서울시 주요 행정통계, 2001년, 1994년

        2001년의 자료 :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상하수도 토양, 지하수-하수도통계-하수관거)

        2002년~2010년의 자료 : 서울시, 서울통계 (주제별-환경-상하수도-하수관거) 

 

 

4.9.2 하수도 시설

하수도 보급률의 급속한 향상은 하수도의 설치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1970년 서울시의 하수도 연장은 1,463km 에 불과하였으나 1970년대 후반 6,000km 를 넘어섰고, 1980년대의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1990년에는 9,000km를 넘어서, 2000년 9,937km, 2010년 10,291km에 이르고있다. 이러한 하수도망의 확충에 따라 하수도가 처리하는 배수구역 면적은 점점 더 계획구역의 면적에 근접하여 왔다.

 

하수도 보급률을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하수도 총연장을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