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요

인구개괄

1.1 인구개괄

 

인구개괄을 나타낸 표입니다.

인구개괄을 나타낸 표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1961년 이후 각년도

 

인구 증가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인구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서울의 인구는 약 20만 명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의 통계연보 상에 인구규모가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은 1915년부터 이다. 이때 서울의 인구는 약 24만 명으로 기록되었다. 20세기 초반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서 서울의 인구는 1935년까지 매년 3~6% 내외의 완만한 증가율을 보였다. 1936년에는 전년 대비 79.9% 의 급속한 증가율과 함께 73 만명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행정구역의 확장에 따른 것이었다. 1930년대 후반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 군수산업정책에 따른 공업화로 인해 서울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42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1945년 해방 전까지 서울인구는 다소 감소하였지만, 1945년 광복과 함께 다시 급속한 증가를 경험하였다. 해방된 이듬해인 1946년에는 전년대비 40%가 증가하여 약 36만여명의 인구가 늘어났다. 광복 후 4년간의 서울시 인구증가 중 50% 이상이 일본이나 중국, 대만 등의 해외 이주민의 귀국, 북한 주민의 남하로 인한 인구증가이며, 나머지 50%는 자연증가와 남한 내 농촌인구의 서울진입에 의한 것이다.

1950년 약 170만 명까지 증가하였던 서울의 인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다시 감소하였다. 1951년에는 100만여 명의 인구가 감소한 64만여 명 수준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이는 휴전협정이 맺어진 1953년 다시 100만 명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6년만인 1959년에 200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는 한국전쟁 이후 제대한 군인, 일자리를 찾는 농민 등이 도시로 유입된 데 따른 결과이다.

이후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서울은 매년 20~60만 명에 이르는 폭발적인 인구의 증가를 경험한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주도의 근대화, 산업화 정책의 결과로 많은 농촌인구가 일자리와 사회적 기회를 찾아 서울로 유입되었고, 여기에 한국전쟁 이후 베이비붐 현상으로 인한 자연증가가 가세한 결과이다.

이에 따라 1953년 인구 100만 명에서 6년만인 1959년에 200만명을 넘어섰으며, 다시 4년만인 1963년에 300 만 명, 5년만인 1968년에 400만 명, 그리고 2년만인 1970년 500만 명을 넘어섰다. 1970년대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되어, 다시 2년만인 1972년 600만을 돌파하고, 4년 후인 1976년 700만, 다시 3년후인 1979년에는 800만을 넘어섰다. 이러한 서울의 인구증가는 적극적인 행정구역의 확대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지만, 한 해 또는 두 해만에 미국 보스턴시의 인구만큼이 늘어나는, 세계 도시역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실로 폭발적인 증가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도 서울은 강남지역의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인구의 증가를 경험하였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약 2~4% 정도로 완화되었으나 이는 인구규모가 커진 만큼 약 2~4 년마다 인구가 100만 명씩 늘어나는 엄청난 증가였다. 1979년 800만을 넘어섰던 서울 인구는 4년 후인 1983년 900만을 넘어섰다. 그로부터 5년 후인 1988년 드디어 인구 1,000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는 한국동란 후 인구 100만을 회복했던 1953년 이후 15년 만에 인구가 10배 증가한 것이다. 이로서 서울은 1980년대 후반이후 인구 1,000만 시대에 접어들었고, 세계에서 가장 인구규모가 큰 거대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인구증가 추이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둔화되기 시작했으며, 1992년 1,097만 명으로 최고치에 달한 이후 1993년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1992년부터 시작된 일산, 분당, 산본, 평촌, 중동 등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외화 현상이 주요원인으로서 1995년에는 약 57만 명의 감소를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까지 서울인구는 약간의 감소 또는 보합세를 보이면서 2000년 말 현재 1,037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서울의 인구는 이로써 100년만에 급속한 성장을 멈추고 정체되는 현상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인구 증감을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가구 수를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가구당 인구수를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가구

서울의 가구수는 인구규모의 변화에 따라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1915년 약 5.5만이었던 가구수는 1936년 처음으로 10만 가구를 넘어 섰고, 1946년 다시 20만 가구로 증가하였다. 한국동란 이후의 폭발적인 인구성장에 따라 1970년 드디어 100만 가구를 돌파하였고 1982년에 200 만 가구, 1991년 300만 가구를 넘어섰다. 그러나 인구증가와 가구수의 증가는 다른 패턴을 나타낸다. 인구규모는 1960, 70년대에 급속히 증가한 반면, 가구수 증가는 1980년대에 더 급속하여 매년 10만가구 내외의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인구증가에 따른 자연증가와 동시에 핵가족화의 확산으로 가구분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의 가구당 인구수는 1930년대 후반 이후 일부 연도를 제외하고는 5명 이상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5명 이하로 감소하였고, 1980년대 후반 부터는 4명 이하로 감소하여, 2000년 현재 2.93명으로 떨어진다. 이는 가구당 인구수가 가장 많던 1942년의 5.75명의 거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진 것이다.

가구당 인구수의 감소는 출산율의 감소와 핵가족화에 따른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성비를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출처 :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남녀 성비

표 1.1-1에는 연도별 남성 및 여성의 인구수가 수록되어 있다. 남성과 여성의 인구수의 차이가 현격했던 것은 아니지만, 20세기 초반 1930년 대 까지는 남성인구가 여성인구보다 우세하였고, 1930년대 초반부터 해방이 된 1945년 까지는 여성이 우세하다가, 해방이후 한국전쟁이 일어나던 1950년까지는 다시 남성인구가 더 많았다. 그리고 1950~1980년대 중반까지는 대체로 여성인구가 우세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이후 다시 남성인구가 여성인구를 초과하는 남초 현상을 보였다.

1930년대 이후 해방되기 까지 일제강점기 동안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많은 여초현상을 보인 것은 일본 식민통치가 강화되고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많은 남성인구가 전쟁에 참여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해 해외로 이주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해방이후부터 1950년까지 다시 남성인구가 늘어난 것은 해방 후 일본이나 중국, 대만 등의 해외 이주민이 대거 귀국하였는데, 이들 귀국동포의 상당수가 남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많은 남성이 전쟁참가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전쟁으로 희생됨으로 해서 다시 여초 현상이 나타났다. 전쟁의 후유증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한동안 지속되어 1950년대 말까지 여초 현상이 계속되었다. 1960~70년대 그리고 1980년대 초반까지도 여전히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많았는데 이는 근대화, 산업화라는 사회변화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1960~70년대 우리나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은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이었으며, 이 시기 많은 농촌여성이 서울을 비롯한 도시지역의 여공으로 일하면서 여성인구의 급속한 증가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1983년 이후 여성인구 증가가 둔화되면서 다시 남성인구가 여성인구보다 많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크게 볼 때, 1960년 이전 까지 서울의 인구는 일제강점기, 한국동란 등의 사회변동 속에서 남초 또는 여초가 두드러지는 인구구성의 불균형 상태를 경험하였다. 예컨대, 1930년 이전의 남성인구가 많던 시기의 성비는 106~110수준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비 불균형은 한국동란의 후유증이 어느 정도 해소된 1960년부터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특히 최근의 성비는 1983년 100.2, 1990년 100.7, 2000년 100.5 등으로 남녀 인구가 큰 차이 없이 균형을 이룬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연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