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가구 주거 인구밀도 인구밀도 Population Density 연관 콘텐츠 면적과 인구규모 면적과 인구규모Area and Population Size 2010년 면적은 런던(1,572㎢), 베이징(1,368㎢), 뉴욕(784㎢), 싱가포르(712㎢), 도쿄(622㎢ 인구성장 추이 인구성장 추이Trend of Population Growth 1920년대 초반 서울의 인구는 25만 명이었고 1940년대의 100만 명에서 1990년에 1,061만 명으로 5 구별 인구분포 구별 인구분포Population Density by District 구별 인구의 분포는 도시의 어느 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하였고 어느 지역에서 감소하였는지를 보는 데 유효하다. 구별 인구증감률 구별 인구증감률Population Change Rate by District 구별 인구증감률은 대체적으로 인구가 도심에서 증가했는지, 아니면 외곽에서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다 구별 인구밀도 구별 인구밀도Population Density by District 구별 인구밀도는 토지를 얼마나 집약적으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대체로 도심에 가까울수록 밀도가 높다 인구 및 면적집중도 인구 및 면적집중도Concentration Ratio of Population and Area 도시의 집중도는 특정 도시의 인구나 도시기능이 전국이나 일정 권역에 비해 얼마나 인구피라미드 인구피라미드Population Pyramid 인구피라미드는 그 도시의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의 분포를 보여준다. 먼저 서울의 변화를 보면, 중심도시의 인구는 전체적으로 감소하 연령별 인구구조와 합계출산율 연령별 인구구조와 합계출산율Population Structure by Age and Total Fertility Rate 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유소년 인 노령화지수와 부양비 노령화지수와 부양비Aging Index and Dependency Ratio 고령화사회는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령화지수와 고령인구 비 총가구 수 총가구 수 Number of Household 총 가구 수는 전반적으로 가구의 소형화로 인하여 증가하였다. 서울은 309만 가구(2000년)에서 350만 가구(2010년)로 평균 가구원 수 평균 가구원 수Average Size of Households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대체로 런던을 제외하고는 모든 도시에서 감소하였다. 서울은 특히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1인 가구 비율 1인 가구 비율The Ratio of 1 Person Household 1인 가구의 비율은 도시별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서울은 16.3%(2000년)에서 2 구별 가구증감률 구별 가구증감률Change Rate in Household by District 주 구별 가구 증감률은 2000년 대비 2010년의 구별 가구 변화량을 계산 구별 1인 가구 비율 구별 1인 가구 비율1 Person Household by District 주 구별 1인 가구 비율(%)=구별 1인 가구 수/총가구 수×100 구별 1인 1000명당 주택 수 1,000명당 주택 수The Number of Housing per 1,000 Persons 1,000명당 주택 수는 ‘인구 수 대비 주택호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국가의 주 1인당 평균 주거면적 1인당 평균 주거면적Average Housing Space per Person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물리적 주거밀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서 주거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 공공임대주택 비율 공공임대주택 비율Public Rental Housing 공공임대주택의 비율은 도시마다 여건과 공급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해석 시 유의해야 한다. 서울은 시가 많은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rice Income Ratio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rice Income Ratio; PIR)은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지표로서, 주택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