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현황
제공파일 개요
- 주요내용: 2006-2013년 시도 서비스업 현황
- 집계기준: 시도
- 상세항목: 산업 세세분류, 사업체수, 종사자수, 매출액, 영업비용, 인건비, 임차료, 수도광열비, 기타경비, 연간급여액
- 조 사 명: 전국사업체조사,
- 조사주기: 매년(조사년도 12월 31일 기준)
- 자료형식: 통계자료(XLS)
- 자료출처: 국가통계포털, 2015-3-3 다운로드
자료 설명
자료개요
- 조 사 명: 서비스업조사
- 통계종류: 조사통계/지정통계
- 승인번호: 10127(1988년 8월 5일)
- 조사대상: 한국표준산업분류 상의 대분류 E,J,L,N,P,Q,R,S에 해당하는 사업체 중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약 80,000 여개 사업체
- E: 하수ㆍ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J: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 P: 교육서비스업
-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R: 예술ㆍ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조사 년도에 따라 조사 대상 산업에 차이가 있으며 서비스업 총조사가 실시된 년도에는 서비스업조사를 시행하지 않음.
- 1986년 총사업체통계조사 결과를 모집단으로 연간 표본조사로 개발하여 제1회 조사실시
- 1989년 산업대분류 K, O부문 조사
- 1991년 K, M, N, O 부문 조사
- 1995년 K부문 조사
- 1996년 O부문 조사
- 1997 - 1999년 K, O 부문 조사
- 2000-2004년 L, M, P, Q, R 부문 조사(2002년 서비스업 총조사로 실시로 미실시)
- 2005, 2007년 L, M, O, P, Q, R 부문 조사 (2006년은 서비스업 총조사 실시로 미실시)
- 2008년 E, J, I, N, P, Q, R, S 부문 조사(한국표준산업분류 제9차개정 적용)
- 2009-2012년 E, J, L, N, P, Q, R, S 부문 조사(2011년은 서비스업총조사 실시로 미실시)
- 2013년 제22회 조사: J,P, Q 업종은 표본규모 확대로 시도단위 통계작성단위 세분(산업세세세분류)
- 2014년 제23회 조사: E, L , N, R, S 업종은 표본규모 확대로 시도단위 통계작성 단위 세분(산업세세분류)
관련 용어
- 연간급여액: 조사대상 기간 중 상용근로자와 임시 및 일용근로자 등 유급종사자에게 각종 세금공제 전에 지급한 급여총액으로서 상여금, 각종수단, 현물급여 등을 포함
- 매출액: 사업체가 지난 1년간 영업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총수입
- 영업비용: 상품구입비, 재료비 등 매출액 창출에 직접적으로 소요된 비용과 상품판매활동 및 사업체의 관리·유지에 지출된 비용으로 인건비, 임차료, 제세공과금, 감각상각비 등을 말함
- 인건비: 조사대상기간 중에 유급임원, 상용, 임시 및 일일종사자에게 지급된 급여 총액을 말하여, 상여금, 각종 수당. 퇴직금 등을 포함
- 임차료: 사업체가 사업목적으로 임차하여 사용하는 건물, 토지, 기계장비 및 장치등에 대하여 지난 1년간 지불한 비용을 말함.
- 연간영업개월수: 조사대상 기간 중 정상적으로 영업한 개월수를 말하며, 계절적요인, 노동쟁의 및 기타요인으로 휴업한 기간은 제외함.
- 일일평균 영업시간: 정상적인 영업일을 기준으로 한 일일 평균 시간을 말함
자료의 이해
- 2013년 서울시 서비스업 사업체는 약 20만개, 종사자는 약 142만명임.
- 2006년에 비해 사업체수는 18.4%, 종사자수는 38.3% 증가함.
- 서비스업의 성장에 따라 2006년 84조원이었던 매출은 2013년 142조원으로 약 70% 성장함.
- 그러나 같은 기간 매출액 대비 영업 비용도 88.8%에서 93.1%로 증가하고 있음.
참고사항
- 제공 파일은 2015년 3월 3일 국가통계포털로 부터 다운로드 한 자료로 최신정보가 아닐 수 있음.
- 국가통계포털의 자료 개편에 따라 통계표의 URL 및 내용이 수정될 수 있으며, 자료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국가통계포털을 이용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