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가격지수
제공파일 개요
- 주요내용: 2012-2015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 집계기준: 시군구(아파트), 생활권(연립다세대, 단독주택)
- 통계유형 및 종류: 조사통계/지정통계
- 자료출처: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 자료 다운로드 : 전국주택매매가격동향
자료설명
자료 개요
- 조 사 명: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통계종류: 조사통계/지정통계
- 승인번호: 30404(1995년 9월 10일)
- 법적근거: 주택법 제86조 및 동법 시행령 118조
- 조사주기: 월
- 조사지역: 아파트는 206개 시군구, 연립 및 단독은 207개 시군구
- 표본규모: 전국 20,045개 주택(아파트 14,976호, 연립: 2,756호, 단독: 2,313호)
- 조사단위: 아파트, 연립주택(다세대주택 포함), 단독주택(다가구주택 포함)
- 조사방법: 해당표본의 실거래 사례가 있는 경우 실거래 가격을 거래 가능가격으로, 실거래 가격가 없는 경우 매매사례 비교법을 활용하여 유사 실거래 사례의 사정보정을 통하여 거래 가능 가격을 산정
관련 용어
- 주택가격지수는 기준시점과 매기 조사되는 조사시점의 가격비를 이용하여 기준시점이 100인 수치로 환산한 값으로 본 자료는 2012년 11월을 기준으로 작성된 지수임.
- 주택가격지수는 2012년 2월부터 표본, 조사방법, 지수산정방식등의 개편사항을 반영한 시계열이 구축되었으나, 중장기 추이분석을 위하여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 기하평균에 의해 2003년 11월부터 시계열을 연장하였음. 따라서 기 공표된 KB지수 및 지수의 변동률과 다를 수 있음.
- 2013년 이전 주택 가격 동향은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지역구분:
수도권 | 서울, 경기, 인천 |
---|---|
지방 | 수도권을 제외한 전 지역 |
6대광역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
5대광역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
9개도 |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8개도 |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 서울, 경기, 부산의 경우 2020 도시기본계획에 의한 생활권역별 지수 및 변동률 제공
지역 | 생활권역 | 세부권역 |
---|---|---|
서울 | 강북권역 | 도심권(종로구, 중구, 용산구) |
동북권(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 ||
서북권(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 ||
강남권역 | 서남권(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 |
서북권(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
경기 | 경부1권 | 과천, 안양, 성남, 군포, 의왕 |
경부2권 | 안성, 용인, 수원 | |
서해안권 | 부천, 안산, 시흥, 광명, 화성, 오산, 평택 | |
동부1권 | 남양주, 구리, 하남, 광주 | |
경의권 | 김포, 고양, 파주 | |
경원권 | 포천, 동두천, 양주, 의정부 | |
부산 | 중부산권 |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
동부산권 | 해운대구, 금정구, 동래구, 기장구 | |
서부산권 | 북구, 강서구, 사상구, 사하구 |
자료의 이해
- 2015년 1월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단독은 100.8, 아파트는 100.2, 연립다세대는 97.2로 기준시점(2011년 11월)에 비해 단독주택과 아파트 다소 높고 연립다세대 주택은 낮음.
-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004년 이후 상승하여 2008년 말과 2010년 초에 110에 가까워 가장 높았으나 이후 감소하여 2013년 이후에는 기준시점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음.
- 단독주택의 매매가격지수는 최근 들어 기준시점에 근접하고 있으나 연립다세대의 매매가격지수는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음.
-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 주택의 매매가격지수는 2004년이후 상승하여 2010-2011년에 기준시점보다 높았으나 2013년이후에는 더 낮게 형성되어 있음.
참고 사항
- 해당 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http://www.r-one.co.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자료 설명은 2015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보고서에 기초해 작성되었으며 상세한 내용은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통계시스템을 참고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