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
- 노인 10,000명당 복지시설 수=복지시설 수/노인 수×10,000
- 노인복지시설은 2014년을 기준으로 하되, 뉴욕과 파리는 2013년 수치를 사용함. 단, 베이징의 10,000명당 복지시설 수는 2014년을 기준으로 하나, 계산에 사용된 노인 인구는 2013년 수치 임. 런던은 노인복지 현황을 이용 인구를 중심으로 집계하므로 복지시설 수치를 취급하는 자료가 없어 제외함
- 서울의 노인 10,000명당 복지시설 수에 사용된 노인 인구는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하며,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양로시설, 노인공동 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을,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을,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복지관을,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 비스, 재가지원서비스를 포함함
- 도쿄의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요양노인주거, 노인주거, 유료노인주거를, 노인의료복지시설은 개호노인보건시설, 무료개호노인보건시설을,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복지센터 를, 재가노인복지시설은 개호노인복지시설을 포함함
- 베이징의 노인 10,000명당 복지시설 수에 사용된 노인 인구는 상주인구를 기준으로 하며,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주거복지시설은 광영원, 노인복리원, 노인가원, 노년강락원, 노년아파트, 노인원, 복리원, 사회복리원, 산장을, 노인의료복지시설은 관애중심, 노년호리중심, 노년호양원, 사회호리원, 장애인의료재활, 호리원, 호양원, 양로원을, 노년여가복지시설은 노년서비스, 노인보양, 노인서비스 사회복리중심, 양로 서비스중심, 이양원, 노년활동중심, 노년휴양소, 탁 노소를 각각 포함함
- 싱가포르의 노인 10,000명당 복지시설 수에 사용된 노인 인구는 거주권자를 기준으로 하며, 노인복지서비스는 Home Care Services, Day Centres, Stay-In Facilities, Clinics, Other Services 로 분류하고, 노인복지시설은 이 중 홈서비스와 일반병원 의료시설, 온라인 또는 전화지원 서비스를 제외한 시설중심 서비스만 포함함
- Day Centres는 Centre-Based Nursing, Centre-Based Weekend Respite Care, Day Care Centre(Social), Day Rehabilitation Services, Dementia Day Centres, Hospice Day Care, Psychiatric Day Care Centres, Senior Activity Centres, Senior Care Centres, SPICE를 포함함
- Stay-In Facilities는 Chronic Sick Hospitals, Community Hospitals, Inpatient Hospice, Private Hospitals, Private Nursing Homes, Psychiatric Nursing Hom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Homes, Respite Care Services, 보건부 관리하의 Restructured Hospitals, Sheltered Homes for the Aged, VWO Nursing Homes를 포함함
- 뉴욕의 노인복지시설은 5개 Borough의 값을 합한 수치이며, 노인주거복지시설은 Senior Housing, 노인여가복지시설은 Senior Center를 포함함
- 파리의 노인복지시설 중 주거복지시설은 은퇴자주택, 가정형주택, 의료서비스주택을 포함하며,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모두 파리시 사회행동센터(CASVP; Centre d’action Sociale de la Ville de Paris)의 관리하에 있으므로, 두 시설은 통합 자료를 사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