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
- 대기오염물질은 2000년, 2013년을 기준으로 함
- 도쿄의 O3(오존)수치는 Ox(옥시던트)수치를 사용했으며, 옥시던트의 측정은 05:00~20:00 시 간대에 실시함
- 베이징의 대기오염물질은 베이징시(대도시권)를 기준으로 함
- 싱가포르의 2013년 NO2(이산화질소), SO2(이산화황)는 연평균 값이며, 오존은 최대 8시간 측 정 후 평균을 낸 수치임. 싱가포르의 2000년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황은 연평균 값, 오존은 1년간 8시간 단위 측정값 중 4번째로 높은 값, 미세먼지는 1년간 24시간 단위 측정값 중 2번째로 높은 값임
- 뉴욕의 대기오염물질은 뉴욕 대도시권(NY-NJ-PA MSA)을 기준으로 측정됐으며, 이산화질소는 1년간 1시간 단위 측정값 중 상위 98%의 값, 이산화황은 1년간 1시간 단위 측정값 중 상위 99%의 값, 오존은 1년간 8시간 단위 측정값 중 4번째로 높은 값, 미세먼지는 1년간 24시 간 단위 측정값 중 2번째로 높은 값, 초미세먼지는 1년간 24시간 단위 측정값의 가중평균값에 의해 측정함
- 파리의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황 농도는 파리관측소의 6개 urban background site에서 추출한 샘플을 평균 낸 수치임
- 파리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파리시내의 측정소에서 집계된 연간 평균치 값의 평균값이며, 도로변(roadside sites), 도시부(urban background sites)를 포함함
|
자료
|
서울 |
-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2014년 서울 대기질 평가보고서 ; 2000년·2013년 기준
|
도쿄 |
- 東京都, 260 大気汚染物質測定平均値(平成8~12年度),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19-14 大気汚染物質測定平均値(平成21~25年度),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3년 기준
|
베이징 |
- 北京市统计局, 2014, 4-22 环境保护(2000~2013年), 北京统计年鉴 2014 ; 2000년· 2013년 기준
- 北京市环境保护局, 2014, 2013 北京市环境状况公报, p.3 ; 2013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5, Table 2.3, Yearbook of Statistics Singapore 2015 ; 2013년 기준
- National Environment Agency, Air Pollutant ; 2000년 기준
|
뉴욕 |
|
런던 |
- King’s College London, 2001, Air Quality in London 2000 ; 2000년 기준
- King’s College London, 2015, London Average Air Quality Levels ; 2013년 기준
|
파리 |
- Airparif, 2015, Air Quality in Paris Region 2014 ; 2010년·2013년 기준
- Airparif, 2014, La Qualitéde l’air en 2013 àParis ; 2013년 기준
- BDQA, AI01YDET Concentration Moyenne Annuelle(ug/m3) en Ozone(O3) pour Quelques Agglomerations, Evolution de 2000 a 2009 ; 2000년 기준
|
|